*KEEP
- 실시간 데이터 처리를 위해 Kafka를 사용하여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프로세스를 처리해 본 점이 좋았다. 이번에 익힌 Kafka를 사용하여 다양한 프로젝트를 경험해 보고 최적화까지 도전해 봐야겠다.
- DynamoDB를 사용하여 NoSQL에 대해서 경험해 본 것도 나에게 좋았던 것 같다.
-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다른 한이음 프로젝트들과 동일하게 문서 작업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. 특히 일정 관리와 추구하는 목표 역할 나눔에 있어서 잘 만들어진 문서 작업은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.
- 학교에서 했던 팀 프로젝트를 제외하고 처음으로 팀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긴 호흡의 프로젝트여서 그런지 정리해야 할 것들도 많았고 서로 소통해야 했던 부분들도 많았다. 이번 프로젝트를 하면서 좀 더 체계적인 프로젝트 진행 방법을 얻은 것 같다. 이를 잊지 말자.
*PROBLEM
- 네트워크 이상현상을 만들려면 디도스 공격과 같은 네트워킹 문제를 직접 만들어야 했는데 이 환경을 만들기가 어려워 구글링을 통해 네트워크 이상이 발생했을 때의 지표 범위를 랜덤으로 발생하게 하여 테스트 한 점이 아쉬웠다. 실제 상황에서는 정확하게 모든 이상치를 탐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.
- 다양한 지표들을 모두 사용하지 못하고 개개인의 역량 부족으로 네트워크 이상치 탐지만을 주제로 잡아서 프로젝트를 진행한 것이 아쉬웠다.
- 다른 한이음 프로젝트들과 동일하게 3개의 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하다 보니 시간적 여유가 부족했고 그와 동시에 팀원 모두 학업을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전체적으로 진척도가 매우 낮았고 그 결과 결과물의 퀄리티 또한 매우 아쉬웠다.
- 기존 널리 알려진 다른 이상탐지 프로젝트들에 비해서 특별하게 다른점이 없었던게 문제였다. 우리 프로젝트만의 특장점을 찾지 못한게 너무 아쉬운것 같다.
- 팀원들 모두 처음 접하는 기술들을 사용하다 보니 구현에 다들 어려움을 느꼈고 그 과정에서 포기해 버리는 상황도 발생했다. 그나마 경험이 있던 내가 더 주도적으로 끌고 가야 했는데 그렇지 못해서 많이 아쉬운 것 같다.
* TRY
-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개발도 중요하지만 결국 사용자들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이 프로젝트가 왜 필요한지, 유사한 다른 프로젝트들과는 어떤 차이점을 가지는지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는것을 느꼈다. 다음번에는 단순히 개발보다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 더 집중적으로 먼저 고민해봐야겠다.
- 나중에 또 다른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다면 내가 조금 더 주도적으로 일정관리, 업무분담을 완벽하게 해서 더 나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고민해야겠다.
- 다음 프로젝트에서는 KPT회고를 주기적으로 ex)2주or 1달에 한번씩 하면서 우리 팀의 문제점을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.
'팀 프로젝트 > PC 로그 이상탐지(2023한이음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한이음23_HI041] 프로젝트 요약 (1) | 2023.12.27 |
---|